안녕하세요. 군대를 전역한 지 벌써 10년이 넘었네요. 군 입대를 했던 게 정말 멀게 느껴지네요. 나이만 차고 있는 게 아쉬울 따름입니다.
군 복무하는 기간이 많이 줄어서 예전만큼 힘들진 않은 것 같습니다. 물론 자기가 있는 곳 그 시기가 가장 힘든 법이죠.
요즘에는 일과 시간 끝나면 휴대폰도 사용할 수 있다는 걸 듣고 놀라기도 했습니다. 제가 있을 때 보안 때문에 아주 엄격하게 사용했었죠.
공중 전화로 여자친구한테 전화하고 부모님들한테 전화하고 낭만이 있었던 것 같아요. 콜렉트콜로 먼저 나라는 걸 밝히고 상대방이 받아줬죠.
오늘은 이에 관련해 군복무계산기 사용법을 아래에서 정리해볼게요. 그리고 육군, 해군, 공군, 해병대 복무기간 계급별로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지금 이 시간에도 나라를 지키는 장병들 수고가 많으십니다. 힘든 시기라도 인생에서 중요한 시기일 수 있으니 힘내세요.
목차
군대 복무기간
군대 복무기간(전역날짜)는 복무 형태에 다릅니다. 육군, 해병대, 공군, 해군 전부 다른데요. 군별 그리고 계급별로 복무기간 나눠서 정리해볼게요.
이병, 일병, 상병, 병장 순서대로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. 4가지 중 가장 늦게 전역하는 건 공군입니다.
- 육군: 2 / 6 / 6 / 4 (총 18개월)
- 공군: 2 / 6 / 6 / 7 (총 21개월)
- 해군: 2 / 6 / 6 / 6 (총 20개월)
- 해병대: 2 / 6 / 6 / 4 (총 18개월)
군복무계산기 사용법
1. 군대 계산기 네이버에서 검색하고 복무구분 클릭합니다.
2. 복무 형태 선택해줍니다.
3. 입대일 선택하여 계산하기 눌러주세요.
4. 군복무계산기 이렇게 쉽게 사용해서 총 복무일, 남은 복무일, 전역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5. 해군과 해병대 공군도 마찬가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.
Q) 군대 모든 종류 확인 가능한가요?
네, 맞습니다. 복무 형태에 육군, 공군, 해군, 해병대, 해병의무경찰, 의무경찰, 의무소방원, 사회복무요원 모두 조회 가능합니다.
맺음말
해당 글을 읽으시면서 군 전역날짜 군별로 확인해보았습니다. 네이버에서 쉽게 검색하여 조회하실 수 있었을 거예요. 저는 육군 나왔는데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.
추가로 제가 깔끔하게 군별로 복무기간도 정리했으니 참고해보세요. 가장 전역이 늦은 건 공군이고 가장 빠른 건 해병대와 육군입니다.
< 추천 게시물 >